무라사키 시키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무라사키 시키부는 970년에서 978년 사이에 태어난 일본 헤이안 시대의 여성 작가로, 후지와라 씨의 일원이다. 그녀는 학자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한문을 익히고 문학적 재능을 키웠으며, 998년 결혼 후 1001년 사별했다. 이후 궁녀로 궁정 생활을 시작하여 《겐지 이야기》,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 《무라사키 시키부집》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다. 특히 《겐지 이야기》는 일본 소설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으며, 무라사키 시키부는 일본 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70년대 출생 - 이즈미 시키부
이즈미 시키부는 헤이안 시대의 여류 시인이자 여러 남성과의 열애로 유명하며, 연애시와 애상가, 찬불가 등으로 후대 여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지만, 동시에 비판적인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무라사키 시키부 - 2000엔 지폐
2000엔 지폐는 일본에서 2000년 오키나와 서미트와 밀레니엄을 기념하여 발행되었으며, 앞면에는 슈리성의 수례문, 뒷면에는 겐지 이야기와 무라사키 시키부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지만, 기념 지폐로 인식되어 유통량은 저조하고 오키나와현에서 주로 사용된다. - 무라사키 시키부 - 후지와라노 타메토키
후지와라노 타메토키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이자 학자, 시인으로, 가잔 천황의 스승이자 무라사키 시키부의 아버지였으며, 와카와 한시 창작, 송나라 상인과의 교섭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다 만년에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다. - 11세기 일본의 시인 - 세이 쇼나곤
세이 쇼나곤은 헤이안 시대 궁중 여성으로 후지와라노 데이시를 섬기며 뛰어난 재치와 학식으로 이름을 알렸고, 궁정 생활을 배경으로 한 수필 『마쿠라노소시』를 남겨 일본 고전 문학의 중요한 작가로 평가받는다. - 11세기 일본의 시인 - 후지와라노 다카이에
후지와라 북가 출신인 후지와라노 다카이에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린 나이에 관직에 올라 빠르게 승진했으며, 다자이곤노소치 재임 시절 도이의 침입을 방어하고 조토쿠의 변으로 좌천되기도 했으나 복귀 후 중납언 등을 지내며 후손들이 왕실과 셋케에 영향을 미쳤다.
무라사키 시키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紫式部 (무라사키 시키부) |
본명 | 후지와라노 카오루코 (藤原香子) |
별칭 | 레이디 무라사키 |
출생일 | 970년 ~ 978년 경 (자세한 생몰년은 생몰년 참고) |
출생지 | 불명 |
사망일 | 1014년 ~ 1031년 경 (자세한 생몰년은 생몰년 참고) |
사망지 | 불명 |
직업 | 작가 시인 |
사용 언어 | 일본어 |
활동 시기 | 990년대 ~ 1000년대 |
장르 | 와카 이야기 문학 일기 문학 |
종교 | 불명 |
배우자 | 후지와라노 노부타카 |
자녀 | 다이니노산미 |
가족 | 후지와라노 타메토키 (아버지) 후지와라노 타메노부의 딸 (어머니) 후지와라노 타메토키의 장녀 (이복 누나) 후지와라노 코레노리 (이복 형제) 후지와라노 코레미치 (이복 형제) 후지와라노 노부쓰네 (이복 형제) 후지와라노 사다미치 (이복 남동생) 후지와라노 노부츠네의 딸 (이복 여동생) |
영향 | 불명 |
영향을 받은 작가 | 불명 |
주요 작품 | |
소설 | 겐지모노가타리 |
일기 |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 (18수) |
와카 | 백인일수 (57번) 무라사키 시키부집 습유와카집 칙찬와카집 (총 51수) |
기타 정보 | |
서명 | 불명 |
이미지 | |
![]() |
2. 어린 시절
무라사키 시키부는 헤이안쿄(지금의 교토)에서 헤이안 시대 초기 섭정이었던 후지와라노 요시후사의 후손으로, 후지와라 북가 일원으로 태어났다.[127] 그녀의 증조부 후지와라노 가네스케는 귀족 사회 최상층에 있었지만, 가문은 점차 힘을 잃어 무라사키 시키부가 태어날 무렵에는 중하위 계층인 지방 관리 수준이었다.[129]
998년경, 무라사키 시키부는 자신보다 훨씬 나이가 많은 후지와라노 노부타카(藤原宣孝)와 결혼했다.[153][154] 노부타카는 궁정 관료이자 의례부 관료였으며, 화려한 옷차림과 뛰어난 춤 솜씨로 정평이 나 있었다.[152] 결혼 당시 40대 후반이었던 노부타카에게는 여러 명의 부인과 자녀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55] 노부타카는 여러 지역에서 지방관을 역임했고, 무라사키 시키부와 결혼할 당시에는 꽤 부유했던 것으로 보인다.[155] 무라사키 시키부는 남편이 아내의 집을 방문하는 당시의 관습에 따라 아버지의 집에 계속 머물렀을 것으로 추정된다.[155]
1006년경, 무라사키 시키부는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딸인 황후 쇼시(彰子)의 뇨보(女房, 궁녀)로 출사했다.[89] 작가로서의 명성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쇼시는 이치조 천황의 황후였으며, 미치나가는 쇼시를 통해 권력을 강화하고자 했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쇼시의 가정교사 역할을 맡았으며, 특히 한문을 가르쳤다.[40] 당시 궁정에는 세이 쇼나곤, 이즈미 시키부, 아카조메 에몬 등 유명한 여류 문인들이 있었다.
무라사키 시키부의 가문은 신분이 낮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증조부와 조부 모두 유명한 시인이었기에 문인들 사이에서 명성을 얻고 있었다. 증조부 후지와라노 가네스케는 21가지 황실 가집 중 13가지,[131] 시 삼십육선, 야마토 모노가타리|야마토 이야기일본어에 작품이 수록되었다.[132] 증조부와 조부는 모두 일본어 운문을 대중화한 기노 쓰라유키와 친분이 있었다.[133] 아버지 후지와라노 다메토키는 다이가쿠료(대학료)에 다녔고[134] 한문 고전과 시 분야에서 존경받는 학자였으며, 그의 시는 시집으로도 엮어졌다.[135] 어머니는 다메토키와 같은 후지와라 북가 후손이었다.[135]
헤이안 시대에는 부부가 별거했고, 자녀는 어머니와 함께 양육되었지만 부계 제도는 여전히 유지되었다.[139] 무라사키 시키부는 아버지 집에서 남동생 노부노리와 함께 살았다는 점에서 비정상적이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아마도 출산 중에 세상을 떠났고, 그들은 어릴 적에 어머니를 잃었다.[140]
한문은 무라사키 시키부의 남동생에게 정부에서의 경력을 준비하기 위해 가르쳐졌고, 그녀는 어린 시절 아버지 집에서 살면서 고전 중국어를 배우고 능숙하게 구사하게 되었다.[145] 그녀의 일기에는 "제 동생...이 어렸을 때 한문 고전을 배우던 시절, 저는 그의 말을 듣는 버릇이 있었고, 그가 이해하고 암기하기 어려워하는 구절들을 이해하는 데 특별히 능숙해졌습니다. 아버지는 매우 박식한 분이셨는데, 항상 '운이 나쁘다'고 후회하셨습니다. '그녀가 남자로 태어났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고 말이죠."라고 쓰여 있다.[146] 그녀는 남동생과 함께 중국 문학을 공부했고, 음악, 서예 및 일본 시와 같은 전통적인 과목도 교육받았을 것이다.[147] 무라사키 시키부의 교육은 당시 여성으로서는 매우 이례적인 것이었다. 루이스 페레스는 ''일본사''에서 "여성은... 진정한 지능이 부족하다고 여겨져 한문 교육을 받지 못했다"고 설명한다.[148]
3. 결혼과 사별
두 사람의 결혼 생활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추측이 있다. 리처드 보우링은 행복한 결혼 생활이었다고 생각했지만, 일본 문학 학자 시라네 하루오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시에서 남편에 대한 원망이 암시된다고 보았다.[153][154]
999년, 무라사키 시키부는 딸 겐시(가타이코/다이니노 산미, 賢子)를 낳았다.[156] 2년 후인 1001년, 남편 노부타카가 콜레라로 사망하면서 결혼 생활은 짧게 끝났다.[156] 무라사키 시키부는 남편의 죽음 이후 깊은 슬픔에 잠겼으며, 이때의 경험이 겐지모노가타리 집필의 계기가 되었다고 알려져 있다.[158][159] 그녀는 일기에서 "나는 우울하고 혼란스러웠다. 몇 년 동안 하루하루를 무기력하게 살아왔다.... 계속되는 외로움을 참을 수가 없었다."라고 당시의 심정을 표현했다.[160]
4. 궁정 생활
무라사키 시키부는 궁정 생활을 하면서 겐지모노가타리 집필을 계속했으며, 미치나가의 후원을 받았다.[50] 궁정의 사치와 향락, 남성들의 권력 다툼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는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에 잘 나타나 있다. "일본서기의 궁녀"라는 별명은 무라사키 시키부가 쇼시에게 한문을 가르친 일화에서 비롯되었으며,[23] 당시 궁녀들 사이에서 그녀의 한문 실력에 대한 질투와 경외심이 섞인 표현이었다.[43]
헤이안 시대에는 여성들이 한문을 배우는 것이 일반적이지 않았기 때문에, 무라사키 시키부의 한문 실력은 더욱 돋보였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자신의 한문 실력을 숨기려 했지만, 결국 쇼시에게 한문을 가르치게 되었다.[42] 이는 당시 사회 통념에 반하는 행동이었다.[41]
4. 1. 궁정 라이벌들과 여성 시인들
무라사키 시키부가 궁녀로 있던 시기는 헤이안 시대 궁정 문화의 절정기였다. 당시 궁정에는 아카조메 에몬, 이즈미 시키부, 세이 쇼나곤 등 여러 여성 시인들이 서로 경쟁하며 문학적 재능을 겨루었다.[177] 무라사키 시키부는 일기에서 이즈미 시키부의 문학적 재능은 인정했지만, 그녀의 사생활을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썼다. "이즈미 시키부는 재밌는 편지 작가이지만 그녀에게는 그다지 만족스럽지 못한 점이 있다. ...그녀는 조심성 없이 글씨를 빠르게 휘갈겨 잽싸게 작품을 만드는 재능이 있다. 그러나 그녀는 시를 쓰기 위해서는 모방할 만한 흥미로운 주제나 원작이 있어야 한다. 사실 나는 그녀를 진짜 시인으로 보지 않는다."[178]
세이 쇼나곤은 마쿠라노소시의 작가로, 재치 있고 활달한 성격이었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세이 쇼나곤에 대해서는 더욱 신랄하게 비판했다. 그녀의 한문 지식 과시를 비판하며, 자신은 한문을 모르는 척했다.[183] 무라사키는 "세이 쇼나곤... 끔찍할 만큼이나 거만했다. 그렇게 잘난 척하며 여기저기에 써놓은 한문 글귀를 보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라고 썼다.[181]
이러한 경쟁 관계는 당시 궁정 내의 권력 다툼과도 관련이 있었다. 무라사키 시키부와 세이 쇼나곤은 각각 다른 황후를 섬겼다.[179]
5. 작품 활동
무라사키 시키부의 대표작은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이다. 겐지모노가타리는 헤이안 시대 귀족 사회를 배경으로 한 장편 소설로, 주인공 히카루 겐지의 사랑과 인생 역정을 그리고 있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남편과 사별한 후 겐지모노가타리를 집필하기 시작했으며, 궁녀 생활을 하면서 완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6] 겐지모노가타리는 일본 최초의 근대 소설로 평가받으며, 일본 문학사상 최고의 걸작 중 하나로 꼽힌다. 795수의 와카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야기의 핵심을 산문이 아닌 와카로 그리는 묘사력과 일본과 중국의 역사서, 한적(漢籍), 한시(漢詩)에 대한 깊은 조예가 뒷받침되는 묘사로 높이 평가받는다.[116]
무라사키 시키부는 겐지모노가타리 외에도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紫式部日記)와 무라사키 시키부집(紫式部集)을 남겼다.[49] 무라사키 시키부 일기는 후지와라노 미치나가의 요청으로 궁중에 들어갔을 때 궁중과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저택의 모습 등을 기록한 것으로, 18수의 와카가 삽입되어 있다.[117] 당시 궁정 일기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무라사키 시키부는 일기의 절반 정도를 미치나가에게 큰 의미가 있던 쇼시의 아들 고이치조 천황의 탄생에 할애했다.[62] 무라사키 시키부집은 무라사키 시키부가 지은 와카를 모은 가집(歌集)이다.[49] 슈이와카슈(拾遺和歌集) 이후의 칙찬와카집(勅撰和歌集)에는 총 51수의 와카가 수록되어 있다.[86]
6. 만년과 죽음
무라사키 시키부의 만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014년에 사망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지만, 1025년 이후까지 쇼시를 모시고 있었다는 기록도 있다.[4][55][51]
1011년 이치조 천황이 사망한 후, 쇼시는 황궁에서 은퇴하여 비와 호 근처의 후지와라 저택으로 거처를 옮겼는데, 1013년 기록에 따르면 무라사키 시키부도 함께 했다.[4] 조지 애스턴은 무라사키 시키부가 궁정에서 은퇴한 후 이시야마데라(石山寺)에서 여생을 문학과 종교에 바쳤다고 전하지만, 모토오리 노리나가를 비롯한 회의론자들은 이 이야기가 사실과 모순된다고 지적한다.[54]
무라사키 시키부의 사망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1014년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그 해에 그녀의 아버지가 에치고 국의 직책에서 급히 교토로 돌아왔는데, 아마도 그녀의 죽음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시라네는 『꿈의 다리: 겐지 이야기의 운율』에서 1014년을 무라사키 시키부의 사망 연도로, 973년을 출생 연도로 보아, 그녀가 41세에 사망했다고 언급한다.[4] 그러나 보링은 1014년 설은 추측일 뿐이며, 그녀가 1025년까지 쇼시와 함께 살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55] 웨일리 역시 무라사키 시키부가 1025년경 쇼시의 아들인 고이치조 천황을 위한 의식에 참석했을 가능성을 제시하며 보링의 의견에 동의한다.[51]
무라사키 시키부의 오빠 노부노리는 1011년경 사망했으며, 딸의 죽음과 함께 그녀의 아버지가 관직을 사임하고 미이데라(三井寺) 사찰에서 출가하여 1029년에 사망하는 계기가 되었을 것으로 보인다.[2][4] 무라사키 시키부의 딸은 1025년 훗날 고레이제이 천황의 유모로 궁정에 들어갔으며, 다이니노산미(大弐三位)로 알려진 유명한 시인이 되었다.[56]
교토시기타구 시노니시오구소다초(호리가와 기타오지 아래 서쪽)에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묘로 전해지는 곳이 오노 다카무라의 묘로 여겨지는 곳과 나란히 있다.[113] 이 장소는 준와 천황의 별궁이 있던 곳으로, 무라사키 시키부가 만년을 보냈다고 전해지는 운린인(雲林院) 백호원 남쪽에 해당한다. 14세기 중엽의 『겐지 모노가타리』 주석서 『가이사이쇼(河海抄)』에는 "식부묘소재운린인백호원남 오노다카무라묘의 서なり"라고 명기되어 있으며,[114] 15세기 후반의 주석서 『가초요조(花鳥余情)』, 에도 시대의 서적 『부소우 경화지』, 『산조우 명적 순행지』, 『산슈 명적지』에도 기록되어 있다. 1989년 사단법인 무라사키 시키부 현창회에 의해 정비되었으며,[114] 이때 시코쿠 요시노가와(吉野川) 상류에서 생산된 화강암(높이 1950cm, 폭 120cm)이 비석으로 기증되었다.[115] 현재 교토시 기타구의 관광 명소 중 하나이다.
7. 평가 및 영향
무라사키 시키부는 당대 최고의 작가 중 한 명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녀의 작품, 특히 『겐지모노가타리』는 일본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세계적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도널드 시블리와 같은 학자들은 이 작품을 일본 최초의 근대 소설로 평가하기도 한다.
무라사키 시키부의 작품은 일본어의 발전에도 기여했으며, 후대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그녀의 문체와 서술 방식은 일본 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그녀는 세이 쇼나곤과의 경쟁 관계를 통해 문학적 발전을 이루었는데, 이는 그녀의 일기에서도 나타난다. 무라사키 시키부는 쇼나곤의 『마쿠라노 소시』에 대응하여 『겐지모노가타리』를 썼다고도 알려져 있으며, 두 작품은 서로 다른 문학적 특징을 보여준다.[36] 무라사키 시키부는 쇼나곤의 한문 지식 과시를 비판하며, 자신만의 문체를 확립했다.[37]
무라사키 시키부는 일본 문화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하나로 여겨지며, 그녀의 업적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물과 행사가 있다. 교토시 기타구에는 그녀의 묘로 전해지는 곳이 있으며, 오노 다카무라의 묘와 인접해 있다.[113] 이곳은 1989년에 사단법인 무라사키 시키부 현창회에 의해 정비되었으며, 시코쿠 요시노가와 상류에서 생산된 화강암 비석이 세워졌다.[115] 또한, 2000엔 지폐 뒷면에는 무라사키 시키부의 초상화와 『겐지모노가타리』의 한 장면이 그려져 있어, 그녀의 영향력을 엿볼 수 있다.
8. 갤러리
8. 1. 갤러리 목록
참조
[1]
서적
Bowring (2004), Mulhern (1994), Waley (1960)
2004-00-00, 1994-00-00, 1960-00-00
[2]
서적
Shirane (2008b)
2008-00-00
[3]
서적
Shirane (1987)
1987-00-00
[4]
문서
Chokusen Sakusha Burui 勅撰作者部類
[5]
서적
Mulhern (1994)
1994-00-00
[6]
서적
Bowring (2004)
2004-00-00
[7]
서적
Inge (1990)
1990-00-00
[8]
서적
Mulhern (1991)
1991-00-00
[9]
서적
Adolphson (2007)
2007-00-00
[10]
서적
Tsunoda (1963)
1963-00-00
[11]
서적
Ueno (2009)
2009-00-00
[12]
서적
Shirane (1987)
1987-00-00
[13]
서적
Puette (1983)
1983-00-00
[14]
웹사이트
Kyoto Celebrates a 1000-Year Love Affair
http://travel.nytime[...]
2009-12-31
[15]
서적
Bowring (1996)
1996-00-00
[16]
서적
Reischauer (1999)
1999-00-00
[17]
서적
Bowring (2004)
2004-00-00
[18]
서적
Perez (1998)
1998-00-00
[19]
서적
Inge (1990)
1990-00-00
[20]
간행물
Lady Murasaki's The Tale of the Genji
1992-00-00
[21]
서적
Mulhern (1991)
1991-00-00
[22]
서적
Mulhern (1991)
1991-00-00
[23]
서적
Mulhern (1994)
1994-00-00
[24]
서적
Bowring (2004), Mulhern (1994)
2004-00-00, 1994-00-00
[25]
서적
Lockard (2008)
2008-00-00
[26]
서적
Henshall (1999)
1999-00-00
[27]
서적
Shively and McCullough (1999)
1999-00-00
[28]
서적
McCullough (1990)
1990-00-00
[29]
서적
Bowring (1996)
1996-00-00
[30]
서적
Bowring (1996)
1996-00-00
[31]
서적
Mulhern (1994), Waley (1960)
1994-00-00, 1960-00-00
[32]
서적
Bowring (1996)
1996-00-00
[33]
서적
Waley (1960)
1960-00-00
[34]
서적
Mulhern (1994)
1994-00-00
[35]
서적
Waley (1960)
1960-00-00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서적
[46]
서적
[47]
서적
[48]
서적
[49]
서적
[50]
서적
[51]
서적
[52]
서적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67]
서적
[68]
서적
[69]
서적
[70]
서적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76]
서적
[77]
서적
[78]
서적
[79]
서적
[80]
웹사이트
Murasaki Shikibu: Brief Life of a Legendary Novelist: c. 973 – c. 1014
http://harvardmagazi[...]
2002-05-00
[81]
서적
[82]
서적
[83]
뉴스
Japanese Feminist to Adorn Yen
https://www.cbsnews.[...]
2009-02-11
[84]
서적
Kondansha
[85]
서적
[86]
웹사이트
紫式部
2020-07-09
[87]
서적
紫式部諸説一覧 二 惟規との前後関係
[88]
서적
[89]
서적
紫式部諸説一覧 九 式部と呼ばれた理由
[90]
간행물
紫式部は鷹司殿倫子の女房であったか
[91]
서적
日本人名関連用語大辞典
遊子館
2008-07-01
[92]
서적
日本人の姓・名字・名前 ―人名に刻まれた歴史―
吉川弘文館
2012-09-01
[93]
서적
紫式部諸説一覧 10 藤式部が紫式部と呼ばれた理由
[94]
서적
紫式部日記
[95]
서적
紫式部伝4-生い立ちI-幼名「もも」説の提唱
勉誠出版
2005-05-00
[96]
서적
紫式部の本名
角川書店
[97]
서적
紫式部本名香子説を疑う
角川書店
[98]
서적
紫式部諸説一覧 出生年次
[99]
서적
紫式部の出生年度
角川書店
1966-03-00
[100]
서적
天禄元年ころの誕生か
新典社
1982-11-00
[101]
서적
解説
笠間書院
2007-04-00
[102]
서적
紫式部の生涯
有精堂
1971-12-00
[103]
서적
紫式部全評釈
笠間書院
[104]
서적
日本文学者評伝全書 紫式部
青梧堂
[105]
서적
紫式部諸説一覧 紫式部の没年
[106]
서적
紫式部新考
有精堂
1969-10
[107]
서적
紫式部の生涯と後宮
思文閣出版
1997-06-01
[108]
서적
森本元子「西本願寺本兼盛集付載の佚名家集―その性格と作者」『古典文学論考 枕草子 和歌 日記』
新典社
1998-09-01
[109]
서적
紫式部伝-平安王朝百年を見つめた生涯
勉誠社
2023-10-20
[110]
서적
紫式部と藤原道長
講談社現代新書
2023-09-21
[111]
서적
紫式部の歿年
法藏館
2007
[112]
서적
ある紫式部伝 本名・藤原香子説再評価のために
笠間書院
2002-11
[113]
서적
観世三十三巻
檜書店
1966-12-01
[114]
웹사이트
紫式部顕彰会
http://murasaki-shik[...]
2019-04-07
[115]
서적
紫式部外伝-その生涯と『源氏物語』-
法蔵館
2007-01-25
[116]
서적
紫式部集
岩波文庫
1973-10-16
[117]
서적
紫式部日記 現代語訳付き
角川ソフィア文庫
2010-08-25
[118]
서적
和泉式部日記 紫式部日記 更級日記 讃岐典侍日記
小学館
[119]
웹사이트
廬山寺公式HP-紫式部
https://www7a.biglob[...]
2018-04-15
[120]
논문
紫式部と六条の宮・具平親王
https://www.jstage.j[...]
[121]
논문
晩年の清少納言
[122]
논문
『紫式部日記』清少納言批評の背景
2001-09
[123]
웹사이트
和泉式部と「鰯」あるいは紫式部と「鰯」
https://www.dwc.dosh[...]
2017-12-07
[124]
웹사이트
紫式部篇 のり平アニメCMギャラリー 懐かしののり平アニメCM 広告ギャラリー
https://www.momoya.c[...]
2024-03-22
[125]
웹인용
In Celebration of The Tale of Genji, the World's First Novel
https://www.britanni[...]
2019-10-12
[126]
문서
무라사키 시키부 출생 연도 추정
[127]
문서
Shirane (2008b) 참고
[128]
문서
Henshall (1999) 참고
[129]
문서
Shirane (1987) 참고
[130]
문서
Bowring (2004) 참고
[131]
문서
勅撰作者部類
[132]
문서
Mulhern (1994) 참고
[133]
문서
Bowring (2004) 참고
[134]
문서
Inge (1990) 참고
[135]
문서
Mulhern (1991) 참고
[136]
문서
Adolphson (2007) 참고
[137]
문서
Mulhern (1994) 참고
[138]
문서
무라사키 시키부 신원 추정
[139]
문서
Ueno (2009) 참고
[140]
문서
Shirane (1987) 참고
[141]
서적
Puette (1983)
[142]
뉴스
Kyoto Celebrates a 1000-Year Love Affair
http://travel.nytime[...]
The New York Times
2008-12-31
[143]
서적
Bowring (1996)
[144]
서적
Reischauer (1999)
[145]
서적
Inge (1990)
[146]
서적
Bowring (2004)
[147]
서적
Shirane (1987)
[148]
서적
Perez (1998)
[149]
서적
Inge (1990)
[150]
서적
Shirane (1987)
[151]
간행물
Lady Murasaki's The Tale of the Genji
Symposium
1992
[152]
서적
Mulhern (1991)
[153]
서적
Bowring (2004)
[154]
서적
Shirane (1987)
[155]
서적
Mulhern (1994)
[156]
서적
Shirane (1987)
[157]
서적
Mulhern (1991)
[158]
서적
Shirane (2008b)
[159]
서적
Bowring (2004)
[160]
서적
Mulhern (1991)
[161]
서적
Puette (1983)
[162]
뉴스
Murasaki Shikibu: Brief Life of a Legendary Novelist: c. 973 – c. 1014
http://harvardmagazi[...]
Harvard Magazine
2002-05-01
[163]
서적
Mulhern (1994)
[164]
서적
Shirane (2008b)
[165]
서적
Mulhern (1994)
[166]
서적
Bowring (2004); Mulhern (1994)
[167]
서적
Henshall (1999)
[168]
서적
Lockard (2008)
[169]
서적
Perez (1998)
[170]
서적
Shively and McCullough (1999)
[171]
서적
McCullough (1990)
[172]
서적
Bowring (1996)
[173]
서적
Bowring (1996)
[174]
서적
Mulhern (1994)
[175]
서적
Mulhern (1994); Waley (1960)
[176]
서적
[177]
서적
[178]
서적
[179]
서적
[180]
서적
[181]
서적
[182]
서적
[183]
서적
[184]
서적
[185]
서적
[186]
서적
[187]
서적
[188]
서적
[189]
서적
[190]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